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주식 주간거래 원리는 유동성 공급자!

by 살기좋도록 2025. 2. 19.

여러분들은 미국 주식 투자에 있어 부담스러운 점이 무엇인가요? 저는 현지에서 기업에 대한 인식이나 시장 분위기를 직접 느끼지 못하는 점 다음으로 힘든 것은 바로 '시차'였는데요, 요즘은 주간 거래로 인해 그 부담이 크게 줄었습니다. 정규장이나 시간외 거래 시간대가 아닌, 우리 시간으로 낮동안 거래할 수 있는 주간 거래와 그 원리인 유동성 공급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주식 주간거래란?

미국 주식의 정규장은 한국 시간 23:30~06:00(서머타임 22:30~05:00) 입니다. 여기에 프리마켓이나 애프터마켓을 통해 정규장 이외의 시간대에도 거래가 가능하지만 우리가 주로 활동하는 시간에는 원칙적으로 거래가 불가능합니다.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에 대해서는 이전 글 2025 미국 증시 휴장일 및 개장 시간을 참고해주세요.

이렇게 공식적인 거래 시간 외에도 거래를 희망하는 수요가 있다보니 여기에 유동성 공급자라는 금융기관이 등장합니다.

유동성 공급자(LP)란?

유동성 공급자(Liquidity Provider, LP) 는 쉽게 말해 시장에 매수·매도 호가를 제공하는 금융기관 입니다. 유동성이 낮은(거래가 활발하지 못한) 종목들의 거래 활성화를 도모하고 주식 시장의 안정성을 키우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시장에 어떤 주식에 대해

  • 1,600원에 팔고자 하는 사람과
  • 1,400원에 사고자 하는 사람

이 있다고 해보죠. 이 경우 매수와 매도 사이 가격 차이(호가 스프레드)는 200원입니다.

유동성 공급자는 이 차이를 줄이기 위해 

  • 1,450원에 매수 호가 를 제시하고
  • 1,550원에 매도 호가 를 제시하면

호가 스프레드는 100원으로 좁아집니다. 이렇게 되면 투자자들이 원하는 가격과 더 가까운 가격에서 거래할 수 있어 시장이 더 원활하게 움직이게 됩니다.

 

유동성 공급자의 역할
✔ 주식을 사고팔 수 있도록 매수·매도 주문 제공 (주간 거래가 가능한 이유)
✔ 투자자가 원하는 가격과 크게 차이 나지 않도록 호가 조정
✔ 시장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도움

미국 주식 주간거래의 장점

1. 낮에도 거래 가능

  • 밤늦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한국 낮에도 거래 가능 합니다.

2.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대응 가능

  • 미국 증시의 호재·악재 뉴스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습니다.

3. 국내 주식과 비슷한 패턴으로 매매 가능

  • 한국 주식처럼 낮에 거래할 수 있어 직장인 투자자에게 유리 합니다.

주간거래 시 주의할 점

⚠ 유동성 공급자가 제공하는 가격이 다를 수 있음

  • 유동성 공급자는 시장 가격과 차이가 있는 매수·매도 호가를 제시 할 수 있습니다.
  • 거래량이 적을 경우, 스프레드(매수·매도 가격 차이) 가 커질 수 있습니다.

⚠ 증권사마다 지원 종목이 다름

  • 모든 미국 주식을 주간거래로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증권사마다 유동성 공급자가 제공하는 종목이 다르므로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

⚠ 수수료 및 스프레드 확인 필요

  • 유동성 공급자가 제공하는 가격에는 일정한 스프레드(수익 마진)가 포함 되어 있습니다.
  • 거래 전에 각 증권사의 수수료 정책과 적용 환율 등을 꼭 체크하세요.

저는 퇴근 후 개장 전까지 정보를 취합하고 새로운 종목을 찾거나 기존 주식의 매도 매수를 결정한 다음 주문을 넣어두고 잠에 드는 편입니다. 다음 날 일어나보면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가격이 크게 변경되어 있던 적도 많이 있었죠. 그래서 부침의 폭이 큰 개장 초반을 지나 확실하게 거래가 된 걸 보고 자곤 했었는데 제가 이용하는 증권사도 주간 거래가 열려서 요즘은 투라밸(투자와 라이프의 밸런스)가 참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도 편안한 밤과 안정적인 투자를 함께 이루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