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 상장 미국 ETF vs 미국 상장 ETF 비교 추천

by 살기좋도록 2025. 3. 3.

해외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에게 미국 ETF는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하지만 국내 증시에 상장된 미국 ETF와 미국 증시에 직접 상장된 ETF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가지 투자 방법의 차이를 이해하고,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내 상장 미국 ETF란?

국내 상장 미국 ETF는 한국 증권거래소(KRX)에 상장된 ETF로, 미국 주식이나 미국 ETF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입니다. 대표적으로 TIGER 미국S&P500(360750),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H)(379810) 등이 있습니다.

미국 상장 ETF란?

미국 상장 ETF는 뉴욕 증권거래소(NYSE)나 나스닥(NASDAQ) 등에 상장된 ETF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SPDR S&P 500 ETF(SPY), Invesco QQQ Trust(QQQ) 등이 있습니다.

투자 목적에 따른 선택 가이드

✔️ 단기 투자 & 환전 번거로움 없이 편하게 거래하고 싶다면?
➡ 국내 상장 미국 ETF (원화 거래, 양도세 없음)

✔️ 장기 투자 & 낮은 비용으로 직접 투자하고 싶다면?
➡ 미국 상장 ETF (낮은 운용보수, 다양한 상품)

💡 추가 팁

  • 국내 상장 ETF는 배당소득세만 적용(양도소득세 X)
  • 미국 상장 ETF는 세금과 환전 비용 고려 필수

도대체 뭘 사야 하나요?

저는 절세계좌(isa, 연금저축, irp) 한도 내에서 국내 상장 ETF를 사모으고 그 이상 수입이 있다면 미국 상장 ETF를 사모으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상장 ETF를 살 때 환 헤지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투자 자산이 커지고 포트폴리오가 다양해진다면 변화를 주겠지만 제 상황에 맞게 나름 내려본 투자 방식입니다. 절세계좌를 가능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1원칙으로 하고 다시 말해 isa, 연금저축펀드에서 국내 상장 미국 ETF를 사모으고 그 이상 투자자금이 생긴다면 미국 상장 ETF를 사모으는 것을 나름대로 권해봅니다. 국내 상장 미국 ETF의 대표주자 S&P500을 비교한 글 국내상장 S&P 500 ETF 비교 (총보수비용 뜻)도 읽어보시면 어떨까요?

 


국내 상장 미국 ETF와 미국 상장 ETF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환율, 세금, 거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자신의 투자 전략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장기 투자자는 낮은 비용과 넓은 선택지를 제공하는 미국 상장 ETF가 유리할 수 있으며, 단기 투자자나 간편한 투자를 원하는 경우 국내 상장 미국 ETF가 적합할 수 있습니다. 미래에 동일한 상황을 가정하고 세금과 수수료로 인한 수익률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내게 맞는 투자가 무엇인지 판단하시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